육하원칙 순서 활용법

학창시절에 육하원칙에 대해서는 많이 들어보셨을텐데, 이걸 생활에서 활용하는 적은 별로 없으실 것입니다. 근데 이 육하원칙이 생활화되면 어떤 문서도 작성할 때 도움이 많이 됩니다. 특히 객관적인 사실을 상대방이 알아보기 쉽게 적을 수 있는 원칙이 육하원칙이죠.

 

 

그런데 이 육하원칙에도 순서가 있다는 사실 아셨나요? 좀 더 효과적인 글쓰기에 도움이 되는 육하원칙 순서를 오늘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육하원칙이란?

 

 

 

잘 아시다시피 육하원칙이란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을 여섯가지입니다. 육하원칙은 보도문이나 기사문을 쓸 때 지켜야 할 기본적인 원칙입니다. 이렇게 육하원칙을 지켜서 글을 쓰면 글을 좀 더 정확하게 자세하게 쓸 수 있을 뿐 아니라 사람들도 이해하기 쉽습니다.

 

 

기사문이 육하원칙의 좋은 예인데 육하원칙으로 글을 쓰는 것도 도움이 되지만 기사문을 육하원칙에 비추어 읽는 것도 내용을 명확하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순서

 

 

육하원칙 순서는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입니다.

 

 

영어에도 동일하게 육하원칙이 적용되는데, who, when, where, what, how, why 앞 글자를 따서 5W1H라고 합니다. 영어에서는 한국어와는 차이가 있게 who를 강조하기에 순서가 조금 달라질 수 있습니다.

 

 

'누가' 즉 주어는 어떤 행동을 한 주체를 의미합니다. 이 부분을 명확하게 제시하지 않고 말을 하거나 글을 쓰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이 경우 전혀 다른 의미로 받아들여지거나 아예 상대가 무슨 이야기인지 알아듣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 만큼 '누가'는 매우 중요합니다.

 

 

그 다음 '언제'는 어떤 행동이 이뤄진 시간을 말하는데 보도문이나 경위서 등에서 이 부분은 사건의 순서를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이를 최대한 정확하게 기술해야 글의 신빙성이 높다고 하겠습니다.

 

 

'어디서'는 사건이 일어난 장소를 의미하는데 글에 '어디서'가 들어가면 글을 읽는 상대가 머릿속에서 사건을 상상해보기 수월해져 사실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건에서 '어디서'가 가장 결정적인 수가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 이어지는 '무엇을'은 사건의 핵심으로 행동을 말합니다. 이 행동을 빼고는 사건을 이야기할 수 없습니다. '무엇을'과 혼동스러운 부분이 '어떻게' 입니다. '어떻게'는 '무엇을'을 설명해주는 부분으로 이를 통해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빠른 이해를 돕습니다.

 

 

육하원칙 순서 마지막은 '왜'입니다. 보도문이나 판결문 등에서 우리가 가장 궁금한 것이 '왜'일 때가 가장 많습니다. 범죄자의 '왜'는 특히나 중요합니다. 뚜렷한 이유없이 이뤄진 일은 이해가 되지 않기에 우리는 끝까지 '왜'를 추적하게 됩니다.

 

사고 경위서 작성요령

 

 

육하원칙이 적용되는 글들은 많이 있지만 그 중에서 우리가 많이 접하게 되는 문서는 아마도 경위서일 것입니다. 경위서란 어떤 사건이나 사고가 발생했을 때, 사건의 시작부터 마무리까지 순차적으로 작성하여 그 경과를 보고하는 글을 경위서라고 합니다.

 

 

경위서의 내용은 회사마다 다를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작성자의 인적사항, 사건의 발생시기, 경위, 원인, 대책 등의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경위서에서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항목은 사고의 원인과 경위, 책임소재입니다. 본인의 과실이 있따면 반성하는 자세로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사고 경위서 작성요령에서 중요한 것은 경위서를 쓸 때 발생 경위를 간단 명료하게 작성해야 하는데 객관적인 입장에서 적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때 육하원칙에 따라 쓰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사건의 경위를 파악하고 재발을 예방하는 것이 목적인만큼 사건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포스팅에서는 많이 들어본 말이지만 쓰임에는 많이 서툰 육하원칙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알아두고 활용해서 글을 쓰게 되면 읽는 사람이 명확하게 내용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지적여 보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육하원칙 많이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